RPG 게임을 통해서 본 자기계발 하는 법 # RPG 게임 모니터링하다가 문득 든 생각 나는 한국산 MMORPG 게임을 하고 있다. 요즘 모바일 게임은 자동 게임이 대다수라 직장인 인 나는 거의 자동을 돌리고 있는데 두 파트로 나뉘어서 자동을 돌린다 한 파트는 소과금이 되어 있는 파티 케릭들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한 파트는 과금이 많이 되어 있는 중과금 이상인 케릭 하나가 있다. 소과금 파티 케릭들은 한정된 사냥터에서 한정된 아이템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신규로 나오는 사냥터를 갈 수가 없다. 이유는 레벨도 낮고 아이템을 갖추고 있지 않아서 물약이 많이 든다. 효율이 나오지 않아서 갈 수가 없다 혹은 케릭이 죽기 때문에 갈수가 없다 그래서 사냥터 제한이 걸리고 거기서만 나오는 아이템만 얻을 수 있다. 중과금 한 캐릭터는 레벨과 아이템을 갖추고 .. 성능 개선에 성공한 Master-Slave Model (feat. Nginx,Docker) 파이썬 웹앱을 클라우드에 올리기 위해 Nginx, Docker 개념을 공부하다가 유사하다고 느껴졌는데 둘다 Master-Slave Model 형태를 띄는 것 같다. ㅇ 마스터(Master), 주국(Primary) - 하나의 일을 수행하는데에 있어 동작의 주체가 되는 역할을 하는 것 . 모든 다른 슬레이브(종국)들을 제어하고 명령하는 주체 ㅇ 슬레이브(Slave), 종국(Secondary) - 종속적인 역할을 하는 것 . 주로 마스터의 지시에 따라 행동 # Nginx Nginx는 C10K (10,000 이상 요청에 대한 커넥션 생성이 되지 않아 성능이슈 가 발생 하는 것)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개발 되었는데 이 문제를 Event-Driven-Model 로 성능 이슈를 해결 하였다. 이벤트 기반의 모델로 ..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두뇌 강화 방법 주말에 뇌과학 관련하여 기사를 읽던 도중 뇌 최적화를 할려면 어떻게 해야 할가라는 의문이 들었다. 그리고 최적화가 되면 학습효율도 올릴수 있을거 같아 관련기사를 찾아보았다. # 장기 기억을 잘하기 위한 방법 아래 기사 내용은 요약을 하자면 두개의 방이 존재 하는데 실험쥐가 한방에 더 오래 머무는 방이 있다면 그 방을 더 행복함 (선호)을 느낀다는 내용이다. 실험쥐는 특정 한곳에 오래 머물던 방 반대 쪽 (비선호하는 곳)에 모르핀(마약성진통제) 성분을 주입하여 좋아함을 경험하도록 인위적으로 만들었더니 선호하지 않던 곳이 선호하던 곳으로 변해서 오랫동안 머무른다고 한다. https://blog.naver.com/ibs_official/221638665167 자꾸만 퇴근하고 싶은 뇌 과학적 변명 집에 끌리는 .. 탑건 메버릭 과 같은 사람과 일하고 싶다 간만에 영화 "탑건 메버릭" 편을 봤다. 감상평도 좋고 다들 영화 이상의 감동이라는 글들이 많아서 내심 기대하면서 봤는데 오프닝에 나오는 음악 하나로 큰 감동의 영화라고 느낄 수 있었다. 영화 보는 순간 순간 마다 가슴 벅차오르는 포인트들이 있어서 눈가엔 약간의 눈물도 맺혔다. 줄거리나 감상평 보다는 특정 장면(Scene)에 느끼는 나의 생각을 적어 보고자 한다. #Scene. 선체 한계를 뛰어넘어 마하10 도달하는 메버릭 마하10을 넘지 못하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종료되는 위기에 놓였고 이제는 파일럿이 필요하지 않은 무인 조정 시대가 오고 있어서 상부에서는 파일럿의 존재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런 상황에 프로젝트는 시작되었고 메버릭은 선체 한계까지 끌어올리면서 마하10을 넘기게 된다. 실..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한" 자청의 역행자 를 읽고서 느낀점 역행자를 읽고서 느낀 점과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사람들을 위해 이 글을 남긴다. # 서론 (나의 경험담) 자청이라는 유튜버를 알게 되고 최근에 발행한 책이 있다고 해서 읽게 되었다. 작년부터 인가 돈 을 많이 벌어서 경제적 자유를 얻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부업으로 크몽을 하기 시작했고 개발 의뢰가 들어오면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주고 비용을 받는 형태로 일을 시작 했다. 의뢰가 들어오는 일은 전에 해보지 못한 업무와 기술들이 요구되었고 그로 인해서 새로운 기술들을 접목해볼 수도 있었고 그 분야에 대한 지식도 약간은 익혀 나갔다. 조금이나마 개발 실력이 향상됨을 느꼈다 정확히는 다른 업무를 받아들이는데 더 유연해졌다고 생각이 든다. 그런데 지금에 와서 드는 생각은 돈이 급해서 남이 주는 일만 .. 딥러닝을 이용한 채팅 단어 자동 완성 프로그램 (크몽 의뢰편) # 개발 착수 크몽에서 개발 의뢰건이 하나 들어 왔다 내용은 위 그림과 같이 특정 키워드를 입력 하면 알고리즘이 연관되는 단어를 추천 해주는 프로그램 이다. 시스템 설계는 의뢰 하는 쪽에서 이미 되어 있었다 구성은 서버, 클라이언트, 딥러닝 학습 모델 이렇게 3가지 파트로 분류 되었다. 내가 맡은 분야는 클라이언트 부분 이다.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소켓 통신으로 패킷을 송수신 하고 데이터 포멧은 Json 형태 이다. 전송 할 데이터는 키워드 인데 이 키워드를 AES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해 암호화 해서 송신 해야 한다. 위 내용만 봤을땐 개발 이 순조롭게 될걸로 예상 되었다. 설계도 깔끔 하게 된거 같고 기술들은 이미 시중에 다 나와 있어서 조금만 검색 해보면 처리 할 수 있는 것들이다. 회사에서 사용하는 .. C# 영어문장 생성 프로그램 #2 (크몽 개발 의뢰건) 자료 구조들은 공통된 속성을 인터페이스로 정의해서 상속을 받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인터페이스들은 각각의 상위 인터페이스들을 상속 받고 공통된 속성을 공유 하여 클래스간 의존성을 줄여서 수정이 용이 하게 합니다. 객체지향 언어의 특성이라 볼 수 있습니다. 위 자료 구조 중에 사용된건 List 와 Dictionary 를 사용 하였는데 List: 인덱스로 엑세스 할 수 있어 목록의 검색, 정렬 및 조작에 이용 됩니다. 그리고 동적으로 할당이 가능해서 웬만하면 C# 에서는 List 를 주로 사용 됩니다. Dictionary: Key와 Valued가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 져 있으며 탐색 할때 Key 에 해당하는 Value 를 찾을 수 있고 O(1) 시간복잡도를 가지고 있어 검색속도가 제일 우수한 자료 형.. 꾸준히 한다는 것 그것에 대한 고찰 사람들은 새로운 기술을 익히기 위해 목표를 정하고 매진한다. 처음 마음 먹은 크기에 따라 열심히 하게 된다. 그렇게 열심히 하다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 풀에 지쳐 쓰러지게 된다. 그리고 몇일후 그 일을 그만 두게 된다. 이와 관련해서 유튜브 영상을 본적이 있는데 그 내용에는 사람마다 그 기술에 대해 제각기 "마나" (게임에서 스킬을 사용하기 위한 능력치)를 가지고 있는데 처음에 열심히 그 일에 대해 매진하면 그 마나를 다 소진 한다고 하였다. 그레서 처음에는 일정량 사용 하면서 꾸준히 매일 하는게 중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비유를 하나 더 든것이 있는데 공부 잘하는 애들은 한번에 몰아서 공부를 하는게 아니라 조금씩 꾸준히 매일 한다고 하였다. 그러다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마나 총량.. 이전 1 2 3 4 5 6 다음